유튜브 수익구조 얼마나 벌 수 있을까.
유튜브 수익구조
유튜브 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요즘들어 유튜브를 통해 큰 돈을 벌었다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돈이 되는 곳에 사람이 모여들고 있습니다. 시청자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크리에이터 들이 참가하면서 점점 컨텐츠 수준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만든 창작물로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왔는데요. 오늘은 유튜브를 보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할 유튜브 수익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수익구조를 알아보기 전에 유튜브를 시작한다고 바로 수익을 내는건 아닙니다. 유튜브를 시청하면 재생하기 전 또는 중간에 광고를 시청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광고는 유튜브 수익구조에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모든 크리에이터가 달 수는 없습니다.
유튜브 수익구조를 내기 위해서는 기본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 합니다. 첫번째로 구독차가 1,000명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1년 평균 동영상 시청시간이 4,000시간 이상이어야 하는데요. 만약 여러개의 채널을 운영한다면 각 채널별로 유튜브 수익창줄 조건을 넘겨야 유튜브 수익구조 중에 하나인 광고가 송출이 됩니다.
예전에는 이러한 제도가 없었는데요.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광고주 친화적인 정책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아무나 광고를 달게 해주는 것 보다 어느정도 기준을 넘겼을때 광고를 송출하게 하는 것이 광고주에게 유리하다고 판단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유튜브 수익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 유튜브 수익구조는 앞에서 말씀드린 광고 시청입니다. 광고를 시청하는 시간과 조회수에 따라 유튜버에게 수익이 배분되는데요. 유튜브는 광고 시청 단가나 재생 횟수에 따른 수익을 철저하게 비공개 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광고비는 알수가 없습니다.
또한 계절이나 시즌별로도 광고 시청 예산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은 늘 변동을 합니다. 물론 결과적으로 구독자가 많고 영상 조회수가 높고 광고를 오래 시청할 수록 유튜브 수익구조에서 광고 시청 수익은 크게 증가합니다.
두번째 유튜브 수익구조는 간접광고입니다. 흔히 ppl 이라고 하는데요. 요즘에 유튜브를 시청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영향력이 커지면서 특정 제품의 리뷰나 협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it 기기 위주로 제품과 광고비를 받고 유튜브에서 리뷰를 했다면 요즘에는 맛집처럼 일반 식당도 협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같은 제품에 대해서도 구독자수가 많고 조회수가 높은 크리에이터가 더 많은 광고료를 받을 수 있어서 유명한 유튜버 일수록 광고시청에 대한 수입만큼 협찬광고가 유튜브 수익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됩니다.
세번째 유튜브 수익구조는 슈퍼쳇입니다. 유튜브는 라이브 방송 기능도 점점 확대하고 있는데요. 실시간 방송 중에는 시청자와 채팅을 통해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때 시청자들은 슈퍼쳇을 구매해 크리에이터에 전달하고 있습니다. 슈퍼쳇은 최소 1,000원 부터 최대 50만원 까지 구매가 가능해서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와 함께 채팅창에 후원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유튜브 수익구조는 후원이 있습니다. 가끔 유튜브 방송을 보면 자신의 계좌번호를 오픈하고 돈을 직접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유튜브 수익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개인적으로 유튜브를 보면 10분 정도 영상에 빠르게 모든걸 담아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말 빠른 영상안에 재밌는 내용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1시간씩 하는 티비예능이 점점 재미없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유튜브가 광고주들에게 최고의 매체로 인식받으면서 티비쪽은 수익구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하죠. 오늘 알아본 유튜브 수익구조가 지금까지 유튜브가 벌고 있는 대부분의 수익이지만 앞으로는 인기 있는 유튜버들에게 수익을 낼 수 있는 더 많은 기회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벌써 일부 유튜버들은 행사를 뛰거나 방송에 나오기도 하고 홈쇼핑에서 물건을 판매하기도 합니다. 영향력 있는 유튜버가 된다면 상상하지 못하는 곳에서 수익을 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재능이 있다면 언제든 도전하시기 바랍니다.